본문 바로가기
탈무드를 읽고

세 가지 현명한 행위

by GrapherStory 2018. 9. 29.


예루살렘에 사는 어떤 한 사람이 여행 도중에 병에 들었습니다. 그는 살아날 가망이 없음을 알고 여관 주인을 불러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곧 죽게 될 것 같소. 내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내 아들이 찾아오거든, 이 소지품을 내 아들에게 전해주시오. 그러나 그가 세 가지 현명한 행동을 해야만 주십시오. 내가 여행을 떠날 때 아들에게 내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서는 '세 가지 현명한 행동을 해야 한다'고 미리 일러두었으니 말이오"


여관 주인은 그 여행자가 죽은 뒤 그 죽음을 그의 아들에게 전했습니다. 그 소식을 전해 들은 아들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마을을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그는 아버지가 죽으신 여관을 몰랐는데요. 그것은 아버지가 여관의 위치를 말하지 말라고 여관 주인에게 미리 말해두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아들은 자기 스스로 여관을 찾아야 했습니다. 아들은 마침내 그 마을에 이르러 잠시 고민을 한 뒤, 먼저 지나가는 나무장수를 불러 세운 다음 나무를 사고 예루살렘에서 온 손님이 죽은 여관에 배달해 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그 나무장수는 배달을 하기 시작했고, 아들은 그 뒤를 따라가 쉽게 여관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갑자기 나무 배달이 온 것에 당황하며 자신은 나무를 산 일이 없다고 하자 나무장수는 "내 뒤에 따라오는 분이 이 나무를 여기까지 배달해달라고 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아들의 첫 번째 현명한 일이었습니다.


여관 주인은 그를 기쁘게 맞은 다음 저녁식사를 차려왔는데요. 식탁에는 다섯 마리의 비둘기 요리와 한 마리의 닭 요리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주인 내외와 그 주인의 두 아들과 두 딸까지 총 일곱 사람이 식탁에 앉았습니다. 주인이 "자, 그럼 음식을 모두에게 나누어 주시기를 바랍니다"하고 말하자, 그 아들은 "아닙니다. 그것은 주인께서 나누셔야 하지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주인은 다시 "아닙니다. 손님이 좋을 대로 나누셔야지요"하고 말했는데요. 그래서 그 아들은 주인의 요청대로 음식을 나누어 담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비둘기 한 마리를 두 아들에게 주고 또 한 마리는 두 딸에게, 그리고 또 한 마리는 주인 내외에게 주고 나머지 두 마리는 자기 접시에 올려놓았습니다. 그것을 본 주인은 몹시 마음이 상했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요. 다음은 닭 요리를 분배할 차례였습니다. 그는 먼저 머리를 떼어 주인 내외에게 주고 두 다리는 두 아들에게, 두 날개는 두 딸에게 각각 나누어준 뒤 나머지 몸통을 자기의 접시에 담았습니다. 마침내 화가 난 주인이 소리를 질렀습니다. 

"당신 고장에서는 그렇게 합니까? 당신이 비둘기를 나눌 때까지는 잠자코 보고만 있었지만, 닭 요리를 나누는 걸 보니 참을 수가 없습니다. 도대체 그게 무슨 짓이오?" 


그러자 그 멀리서 온 손님인 아들은 "처음부터 음식 나누는 일은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주인의 간청에 최선을 다해 나눈 것입니다. 이렇게 나눈 이유를 설명하지요. 주인 내외와 비둘기 한 마리를 모두 세어보면 셋이 되지요, 두 아드님과 비둘기 한 마리 그렇게 셋이고요, 두 따님과 비둘기 한 마리 그렇게 셋이고요, 나와 비둘기 두 마리 그렇게 셋이니 이보다 더 공평한 분배가 어디 있겠습니까?" 이것이 아들의 두 번째 현명한 일이었습니다. 


이어서 아들은 "또한 주인 내외분께서는 이 집안의 어른이시니 머리를 드린 것이요, 두 아드님은 이 집안의 기둥이시니 두 다리를 드렸고, 두 따님은 머지않아 시집을 가실 터이니 두 날개를 드렸으며, 저는 배를 타고 왔고 또 배를 타고 가야 할 사람이니 배와 비슷한 몸통을 가진 것뿐입니다. 어서 제 아버지의 유산을 주십시오"하고 침착하게 말했습니다. 이것이 아들의 세 번째 현명한 일이었습니다. 


탈무드_세가지현명한행위


오늘의 이야기는 아버지의 유산을 받기 위해 세 가지 현명한 행동을 해야 했던 아들의 이야기였는데요. 전체적인 내용의 핵심은 발상의 전환인 것 같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리저리 생각을 해보다가 막히게 되면 발상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죠. 우리의 삶에서도 이런 발상의 전환은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사실 하고 싶다고 해서 간단히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주자주 생각의 환기를 하시는 것이 좋고, 너무 깊게 빠져있다면 잠시 밖으로 나와 시야를 넓게 가지고 큰 그림을 다시 그리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요즘 세상에서는 아이디어의 가치가 높아져서 살아가는데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사소한 아이디어 하나로 엄청난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마음껏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이디어라는 말에 부담을 느끼고 되레 힘들게 생각하시는데요. 전혀 그럴 필요 없이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메모하시고 또 공유하시는 습관을 가진다면 우리도 누구나 아이디어 뱅크가 될 수 있습니다. 성공의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그럼 오늘 이야기에 사족을 달아볼까요?


1. 여행 도중에 병에 걸린 상황인데, 어떻게 그걸 알고 미리 여행 전에 아들에게 유산에 대하여 언급할 수 있었을까요? 여행자는 평소 몸이 약한 사람이었을까요?


2. 세 가지 현명한 행동에 대한 기준이 너무 애매합니다. 막말로 뒤에서 다시 언급할 내용이지만, 첫 번째 행동은 그렇다 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행동은 현명하다고 볼 수 있는지 의문이네요.


3. 아들이 한 첫 번째 행동은 정말 현명하고 놀랍다고 말할 수 있지만 실제로 과거에나 가능했을 법한 일이네요. 만약 우리나라였다면 저 방법으로는 절대 찾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4. 이야기에서 언급이 없었는데 여관 주인은 왜 식사 배분을 문제로 삼았을까요? 배분하기 애매하게 음식을 차린 것을 보니 음식 배분을 통해 아들을 파악하려고 한 것이 분명한데 말이죠. 이것도 여행자가 미리 언급한 내용일까요? 근데 또 아들이 내놓은 해답에 화를 낸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5. 여관 주인의 '참을 수 없었다'라는 표현이 너무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음식 배분을 마음에 들지 않게 해서 참을 수가 없었다는 것이 말이죠. 사실 그렇게 화를 낼 일도 아니었다고 생각하는데요. 어찌 되었든 아들 입장에서는 식사를 배분하라고 해서 배분을 한 것이니까요.


6. 문제의 두 번째와 세 번째 행동에 대해 말을 할 차례인데요. 일단 아들의 이야기가 말은 됩니다. 하지만 저게 과연 저 시대에서는 현명한 행동이었을까요? 지금 우리의 기준으로 봤을 때 '그럴 수도 있겠다' 정도 지 '현명'이라고는 말을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물론 발상의 전환을 통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여 해답을 내놓아 신선했지만, 모두가 만족하고 수긍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명한 행동이었다고 말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닭 머리 하나를 어른 둘이 먹으라고 준 것은 말이죠.


7. 오늘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말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을 했습니다. 말도 안 되는 일을, 재치 있게 말을 잘 함으로써 커버를 하는 것 자체는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탈무드를 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국과 지옥  (0) 2018.11.26
갑자기 부자가 된 가난뱅이 이야기  (0) 2018.11.18
가장 귀중한 재산  (0) 2018.11.16
순결의 중요성  (2) 2018.10.14
올바른 지도자에 대해서  (0) 2018.09.16
가정과 평화, 가족에 대해서  (0) 2018.09.07
약속, 신뢰와 배신에 관하여  (0) 2018.08.31
일곱 번째 사나이 이야기  (0) 2018.08.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