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글로벌화로
이제는 언어를 뛰어넘어
누구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시대인데요.
이와 같은 이유로,
각국의 사람들을 배려하여
콘텐츠 업로드라던가
콘테스트 시작 시간을
여러 형태로 표기한 것을
여러분도 한 번쯤은
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표준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우리나라입니다.
우리나라의 시간은
KST로 표기되며,
Korea Standard Time,
즉 한국 표준 시간이라고
풀어서 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JST는
무엇을 뜻할까요?
네. JST는 바로
Japan Standard Time,
일본 표준 시간입니다.
다음은 주로 사용되는
각각의 표준시들입니다.
EST : Eastern Standard Time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시입니다.
우리나라 표준시 기준,
14시간을 빼면 됩니다.
UTC : Coordinated Universal Time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국제적인 표준시입니다.
다른 약자와는 다르게
조금 헷갈리실 수 있으나
Universal Time 계열로
이해하시면 쉬울 듯싶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의 경우
UTC+9 시간대입니다.
따라서 계산을 위해서는
9시간을 빼면 되겠죠?
GMT : Greenwich Mean Time
영국 그리니치 평균시는
런던을 기점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 기준,
9시간을 빼면 됩니다.
UTC와 같아 보이지만
다른 명칭 표기에는
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구분하시는 게 필요합니다.
PST : Pacific Standard Time
태평양 표준시의 경우
미국 캘리포니아주,
워싱턴주, 네바다주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 기준
17시간을 빼면 됩니다.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비한 이야기, 오병이어의 기적 (0) | 2022.02.03 |
---|---|
일촉즉발 뜻 의미 간단하게 정리 (0) | 2022.02.02 |
TBD 뜻 의미 간단하게 정리 (0) | 2022.02.01 |
팝업(Pop-up) 뜻 의미 간단하게 정리 (0) | 2022.01.31 |
NFT 뜻 의미 간단하게 정리 (0) | 2022.01.27 |
lol 뜻 의미 간단하게 정리 (0) | 2022.01.25 |
손쉬운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필모라 X(Filmora X) (0) | 2022.01.24 |
아트테크(Art Tech), 예술의 재테크화 (0) | 2022.01.23 |
댓글